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4

아이 친구가 우리 집에서 다쳤어요. 제가 책임져야 하나요? 요즘은 아이들끼리 서로의 집을 오가며 놀거나 잠시 부모의 부재 중에 돌봐주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렇게 방문한 아이가 집 안에서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면, ‘과연 이 책임이 누구에게 있을까?’라는 질문이 남는다. 단순한 놀다가 생긴 상처인지, 집주인의 과실이 개입된 것인지에 따라 법적 책임의 유무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아이는 사고에 취약하고, 부모의 입장에서는 당황과 함께 걱정이 겹치면서 갈등이 생기기도 한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 집에서 친구 아이가 다친 경우 실제로 어떤 법적 책임이 발생하는지, 민법상 불법행위 책임과 과실 판단 기준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다. 민법상 불법행위 책임은 언제 성립할까?기본적으로, 타인의 신체나 재산에 손해를 입힌 경우 민법 제750조에 따라 불법행위 책임이 .. 2025. 5. 7.
입양 보낸 반려동물, 다시 데려오고 싶은데 가능할까요? 사정이 있어 반려동물을 입양 보낸 뒤 시간이 지나 후회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입양을 보낼 당시에는 그게 최선의 선택이라고 생각했지만, 환경이 나아졌거나 마음이 바뀌어서 다시 데려오고 싶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이미 다른 사람에게 입양된 반려동물을 다시 데려오는 것이 법적으로 가능한 일인지, 현실적인 제약은 무엇인지 쉽게 판단하기는 어렵다. 특히 반려동물은 법적으로 ‘물건’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생명을 가진 존재이기에 일반적인 재산 반환과는 다른 감정과 도의적인 문제가 얽혀 있는 경우가 많다. 입양 후 다시 되찾을 수 있는 권리가 존재하는지, 어떤 조건이 충족되어야 가능한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반려동물 입양은 법적으로 소유권 이전에 해당한다우선 법적으로 반려동물은 ‘동물보호법’ 및 ‘민.. 2025. 5. 6.
카페에서 노트북 고장났는데, 카페가 책임져야 하나요? 노트북이 고장났는데 장소는 카페,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요즘은 카페에서 노트북을 켜고 공부하거나 업무를 보는 이들이 매우 많다. 전원도 제공되고 분위기도 좋아 많은 사람들이 작업 공간처럼 활용하고 있지만, 이처럼 공공적인 공간에서 개인 소유의 고가 장비가 손상됐을 때 과연 카페 측에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이를테면, 자리에 앉아 작업을 하던 중 천장에서 누수가 발생해 노트북에 물이 떨어졌거나, 카페 직원이 실수로 음료를 쏟아 기기를 망가뜨렸다면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이 글에서는 민법상 손해배상 책임의 구조를 바탕으로, 카페 측이 어떤 경우에 배상 의무를 지고 어떤 경우에는 책임을 면할 수 있는지 실제 사례와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민법상 시설 제공자의 주의의무란?민법 제390조는 채무불이행에 의.. 2025. 5. 6.
실종신고를 막고 싶어요. 가족이 일부러 잠적한 거예요. 가능할까요? 고의적인 잠적, 실종신고 대상이 될 수 있을까?가족이나 가까운 사람이 갑자기 연락이 끊기면 많은 사람들은 실종을 의심하게 된다. 특히 휴대폰도 꺼져 있고, 며칠째 아무런 소식이 없다면 걱정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만약 그 사람이 범죄 피해자가 아니라, 본인의 의지로 자리를 피한 것이라면 어떨까. 실제로 스트레스, 가족 갈등, 개인적 사정 등으로 일부러 연락을 끊고 잠적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문제는 주변 사람이 이를 알면서도 불안감을 이유로 실종신고를 하려 할 때 발생한다. 과연 실종신고는 당사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진행될 수 있을까. 또 본인이 원치 않는데도 수색이나 경찰 조사로 이어질 수 있는 걸까. 이번 글에서는 고의적인 잠적과 실종신고의 경계, 당사자의 권리와 법적 현실을 함께 살펴보고.. 2025. 5. 5.
애완동물 때문에 이웃이 피해를 입었다며 손해배상 요구해요. 책임져야 하나요?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500만 명을 넘는 시대, 이제는 개나 고양이뿐 아니라 다양한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었다.하지만 이런 반가운 변화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갈등이 있다. 바로 이웃과의 분쟁이다.개가 짖는 소리로 이웃이 수면장애를 겪는다거나,고양이가 공동 현관을 통해 다른 집으로 들어갔다든지,산책 중인 개가 다른 사람에게 달려들어 놀라게 하거나 긁힌 경우 등은 더 이상 드문 일이 아니다.이때 상대방이 “당신의 반려동물 때문에 피해를 입었으니 손해배상을 해달라”고 요구한다면과연 반려인은 법적으로 책임을 져야 할까?많은 사람들은 “동물이 한 일인데 왜 내가 배상해야 해?”라는 의문을 갖는다.하지만 우리 민법은 아주 명확하게 ‘반려동물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해 소유자(또는 점.. 2025. 5. 5.
월세 세입자가 집을 비워줬는데 짐을 안 가져가요. 버려도 될까요? 월세 세입자가 집을 비워줬는데 짐을 안 가져가요. 버려도 될까요?임대사업을 하거나 집을 세 놓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이런 상황을 겪었을 수 있다.세입자가 계약 기간이 끝나거나 중간에 잠적해버렸는데,문제는 그 사람의 짐이 방 안에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다.“집 비우면 끝 아닌가?” 싶은데, 막상 집을 열어보니 옷, 가구, 생활용품, 심지어 전자제품까지 널브러져 있다면임대인 입장에서는 당황할 수밖에 없다.이런 경우, 그 짐을 마음대로 버리거나 처분하면 법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다.하지만 언제까지고 그대로 두는 것도 현실적으로 부담이다.오늘은 이런 상황에서 임대인이 할 수 있는 대응 방법과,무단 처분 시 발생할 수 있는 법적 책임, 그리고 적법한 정리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자.임대인의 .. 2025. 5. 1.